상단 배너
BUSAN WORLD EXPO 2030 2030 월드엑스포를 우리의 힘으로!
닫기


국내 정보통신기술(ICT) 기업들, ‘23년도 연구개발에 전년 대비 +7.4% 증가한 56.8조 원 투자

작성일
2025-04-01 09:11:22
작성자
기업정책과
조회수 :
12
  • 250331 조간 (보도) '23년 ICT기업 연구개발 활동 조사현황 발표(최종).hwpx 다운로드

과학기술정보통신부(장관 유상임, 이하 과기정통부)331()국내 정보통신기술(ICT) 기업들의 2023년도 연구개발비 투자가 56.8조 원으로 전년보다 3.9조원(+7.4%), 전일 근무 연구인력*22.07만명으로 6.9천명(+3.2%) 증가했으며, 특히 기초연구 분야에서 연구개발비 증가율(+15.9%)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.

* 상근 상당 인원(FTE: Full Time Equivalent)으로서,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 기준(가이드) 따라 특정 기간(일반적으로 1) 동안 연구개발 인력들이 근무한 총 시간을 법정 근무시간으로 나누어 산출

 

‘23년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비 56.8조 원전체 기업들의 총 연구개발비 94.3조원의 60.2% 수준이며, 증가액 규모(3.9조원) 전년 대비 +5.4% 증가했던 전체 기업들의 총 증가액 4.9조원80.1%에 달한다.

 

이와 같은 결과는‘24년도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(KISTEP)이 진행한 연구개발활동 현황 조사에 참여한 대학·연구기관·기업 등 총 68,096 기관* 중에서 정보통신기술 기업(17,104개사)들의 응답 내용만을 별도로 분석해서 도출되었다.

* 공공연구기관 918, 대학 350, 의료기관 410, 기업체 66,418

 

23년에는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기업 생산* 및 정보통신가슐 수출** 등이 모두 감소하는 어려운 여건이었지만 우리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인공지능과 차세대통신 등 첨단 핵심기술 등의 확보를 위해서 많이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.

* 정보통신기술 기업 생산: 22581.8조 원 ’23509.5조 원(72.3조원 감소, 12.4%)

** 정보통신기술 수출(미화): ’222,332.3억 불 ’231,867.5억 불(464.8억불 감소, 19.9%)

업종 별로는 인공지능 일상화 본격 추진,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 착수 6세대 이동통신 선행기술 확보 추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통신방송기기업 분야에서 가장 많은 51.8조 원(+3.7조원 증가, +7.6%)이 투자되었다.

 

연구단계 별로는 개발연구가 40.3조 원(+ 2.1조원 증가, +5.6%)으로 가장 많았지만, 인공지능 연산방식(AI 알고리즘), 차세대컴퓨팅 및 6새대 이동통신 등에서 핵심기술 개발 수요 등을 반영해 7.2조원(+1.0조원 증가, +15.9%)이 투자된 기초연구 분야 증가율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기업 유형 별로는 대기업이 46조 원(+3.8조 원 증가, +9.1%)벤처기업이 5.2조 원(+0.3조 원 증가, +6.7%)으로 늘어났고, 중소기업은 약 2.3조 원(0.3조 원 감소, 11%)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통계 조사방식 변경*에 따라 설문에 응답한 중소기업 수가 줄어들어‘23년도 조사에서만 일시적으로 나타난 결과로 파악된다.

 

* 중소기업 기업부설연구소 실질 운영 확인(응답기업: ‘228,167‘237,094, 1,073)

 

‘23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에서 전일 근무하는 연구개발 인력(상근상당인원 기준, 연구지원·행정지원 인원 포함)22.07만 명(+6.9천 명, +3.2%)으로 정보통신기술 기업까지 포함한 국내 전체 기업들의 연구개발 인력 45.94만 명(+2,+0.4%)48% 수준이며, 국내 기업 연구인력들의 증가도 대부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전일 또는 일부라도 연구개발 참여한 정보통신기술 기업 전체 인원 수(HC, Head Count)24.17만 명(+5.8천 명 증가, +2.5%)으로 전체 기업 인원 수 52.3만 명의 46.2% 수준으로 조사됨

 

연구개발 인력 중에서 연구원이 가장 많은 19.6만 명으로 전년보다 약 5천명(+2.6%), 연구보조 인력은 2.18만 명으로 약 2천명(+10.4%) 증가했고, 행정지원 인력은 2.9천명으로 160(5.3%)이 감소하였다.

 

정보통신방송기기업의 연구개발 인력이 15.68만명으로 가장 많았고(+6.5천명, +4.3%), 그 다음으로는 소프트웨어개발·제작업 5.59만명(9백명, 1.6%),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 7천명(3백명, 4.1%)이었으며‘23년도 통계부터 새로 반영된 정보통신기반(인프라)서비스업1.1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기업들이 23년에 새롭게 부각되었던 인공지능과 6세대 이동통신 분야 등 핵심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함으로써 기술변화에 잘 대응하고 국가 디지털전환에도 기여하였다면서,

 

정부도 기업들이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에 대해서는 마중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,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확보한 기술의 사업화도 강화하여 민관의 연구개발 투자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.

 

본 통계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2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(조사기관 : 68,096) 결과 중 정보통신기술 기업(17,104)에 관한 항목을 별도 분석한 것으로, 국가통계 누리집(http://kosis.kr)과 정보통신 통계포털(http://www.itstat.go.kr)에서 일반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.

 
출처 : 과기부 보도자료

담당부서
기업정책과
전화번호
051-979-5326

만족도 조사

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?

평가:

Quick Menu
닫기
TOP